-
무한도전 20주년 마라톤 '런 위드 쿠팡플레이' 모든 것! 감동의 현장 총정리 (멤버, 굿즈, 공연, 다시보기 정보)카테고리 없음 2025. 5. 26. 19:50728x90반응형
I. 돌아온 레전드! 무한도전 20주년, 끝나지 않은 이야기의 시작
대한민국 예능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프로그램, '무한도전'. 13년간 우리를 웃고 울렸던 '무한도전'은 단순한 예능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이었습니다. 김태호 PD의 말처럼,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가는 시청자들이 같은 프로그램을 보며 같은 웃음과 눈물, 감동과 희열을 느꼈던 "희한한 시대적 사건"이었죠. 2018년 3월, 아쉬움 속에 막을 내린 후 그 빈자리는 유독 크게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2025년, '무한도전'이 방송 20주년을 맞아 특별한 방식으로 우리 곁을 다시 찾아왔습니다. 바로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 마라톤 행사입니다.
2025년 5월 25일, 뜨거운 열기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이 행사는 '무도 키즈'들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을, 아쉽게 함께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궁금증과 기대를 안겨주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바로 그 감동과 환희의 순간들을 총정리하여, 현장의 열기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다시 한번 '무한도전'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합니다.
'무한도전'의 20주년 기념 마라톤은 단순한 추억 팔이를 넘어, 여전히 건재한 '무한도전' IP의 힘과 팬덤의 열정을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쿠팡플레이라는 새로운 파트너와의 협업 , 그리고 서울에서의 성공적인 개최에 이어 "다음은 부산으로 간다!"는 발표는 '무한도전'이라는 이름으로 펼쳐질 새로운 이야기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무한도전'이라는 브랜드가 가진 잠재력을 바탕으로, 팬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도 읽힙니다.
또한, '마라톤'이라는 형식 자체가 '무한도전'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프로그램의 제목처럼 수많은 '도전'을 거듭해왔던 '무한도전'에게 , 마라톤은 그들의 핵심 가치를 가장 잘 나타내는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과거 프로레슬링 WM7 , 봅슬레이 , 조정 등 멤버들의 한계를 시험했던 장기 프로젝트들을 기억하는 팬들에게, 20주년 기념 마라톤은 '무한도전'다운 방식으로 그 의미를 되새기는 특별한 이벤트로 다가왔을 것입니다.
II.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 행사 핵심 정보 한눈에 보기
이번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는 '무한도전' 2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적인 달리기 행사였습니다. 그 핵심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행사 개요 (Event Overview)
항목 (Item)내용 (Details)행사명 (Event Name)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 (Infinite Challenge Run with Coupang Play) 일시 (Date & Time) 2025년 5월 25일 (일) 오전 8시 (May 25, 2025 (Sun), 8:00 AM) 장소 (Location) 서울 여의도공원 일대 (Yeouido Park, Seoul) 코스 (Course) 10km (여의도공원 출발 및 도착) (10km, starting and finishing at Yeouido Park) 주최/파트너 (Organizer/Partner)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행사 장소로 서울의 중심이자 대표적인 공원인 여의도공원이 선정된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깊습니다. 여의도공원은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고 접근성이 뛰어나, 많은 팬들이 함께하는 축제의 장으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주최 측이 이번 행사의 규모와 파급력을 얼마나 크게 예상했는지 짐작하게 하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행사 당일 많은 인파가 몰릴 것을 대비해 대중교통 이용이 권장되기도 했습니다.
10km라는 코스 역시 세심한 고려가 엿보입니다. 전문적인 마라토너가 아니더라도 충분한 준비를 통해 완주할 수 있는 거리로, 더 많은 팬들이 '도전'의 의미를 직접 체험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것입니다. 이는 평범한 사람들이 특별한 (혹은 무모한) 도전을 감행하는 '무한도전'의 근본적인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실제로 유모차를 밀며 달린 부모, 휠체어를 타고 결승선을 통과한 참가자 등 다양한 모습은 이러한 포용적인 행사 기획 의도를 잘 보여줍니다.
III. 함께 달린 멤버들: 라인업과 화제의 중심
'무한도전' 20주년 마라톤에는 그리운 얼굴들이 함께해 팬들에게 큰 기쁨을 선사했습니다. 박명수, 하하, 정준하, 광희, 전진 그리고 조세호까지, '무한도전'을 빛냈던 멤버들이 현장에 참여해 팬들과 함께 호흡했습니다. 특히 정준하는 팬들의 열띤 응원 속에서 10km 코스를 완주하는 저력을 보여주며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멤버들 외에도 배우 윤시윤이 정준하의 페이스메이커로 활약하며 훈훈함을 더했고, 션, 심으뜸, 이근호, 염기훈, 김영광, 임세미, 손스타 등 연예계와 스포츠계를 대표하는 '무도 키즈'들도 대거 참여해 축제의 열기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참여 멤버 및 주요 게스트 (Participating Members & Key Guests)
구분 (Category)이름 (Name)비고 (Note)무한도전 멤버 박명수, 하하, 정준하, 광희, 전진, 조세호 정준하 10km 완주 특별 게스트 윤시윤, 션, 심으뜸, 이근호, 염기훈, 김영광, 임세미, 손스타 등 윤시윤: 정준하 페이스메이커 Sheets로 내보내기하지만 많은 팬들이 기다렸을 '국민 MC' 유재석의 불참은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무한도전'의 상징적인 존재이자 중심축이었던 그의 부재는 팬들 사이에서 다양한 반응을 낳았습니다. "유재석 없는 '무한도전' 행사는 의미 없다"며 실망감을 표하는 목소리가 있었던 반면 , "참여한 멤버들을 존중하고 함께하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의견도 팽팽히 맞섰습니다. 유재석 외에도 정형돈, 노홍철 등 핵심 원년 멤버들의 불참 역시 팬들에게는 여러 생각할 거리를 안겨주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역설적으로 참석한 멤버들의 헌신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정준하의 10km 완주와 같은 모습은 유재석의 부재 속에서도 '무한도전'의 정신을 이어가려는 멤버들의 의지를 보여주는 듯했습니다. 또한, 현장의 뜨거운 분위기와 팬들의 열정은 '무한도전'이라는 이름 아래 모인 이들이 공유하는 끈끈한 유대감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이는 '무한도전'이라는 브랜드와 팬들의 정서적 교감이 특정 개인을 넘어선, 더 큰 차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멤버들의 불참에 대한 다양한 반응은 장수 예능 프로그램의 팬들이 출연진 개개인에게 얼마나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는 단순히 프로그램의 콘셉트를 넘어, 멤버들 간의 '케미'와 각자의 존재감에 대한 팬들의 복합적인 감정을 반영합니다. 향후 '무한도전'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이러한 팬들의 기대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을 것입니다.
IV. 이렇게 참여했어요: 참가 신청 과정과 가격 (회고)
이미 성황리에 막을 내린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 그 뜨거웠던 현장에 함께하기 위해 팬들은 어떤 과정을 거쳤을까요? 이제는 추억이 된 참가 신청 과정과 가격 정보를 되짚어 봅니다.
참가 신청은 오직 쿠팡플레이 모바일 앱을 통해서만 가능했습니다. 이는 쿠팡플레이가 이번 행사의 단독 파트너로서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음을 보여줍니다. 참가 자격으로는 쿠팡 와우 멤버십이 필수 조건이었으며 , 이는 기존 와우 회원들에게는 특별한 혜택을, 비회원들에게는 가입을 유도하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 시작일은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오후 8시였고 , 많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된 만큼 선착순으로 마감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가장 궁금해하실 참가비는 최종적으로 9만 9천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초기에 3만원으로 예상된다는 공지가 있었으나 , 이는 어디까지나 "예정/추후공지" 사항이었고, 실제 결제 단계에서 안내된 금액은 9만 9천원이었습니다. 결제는 쿠페이 또는 카드만 가능했습니다.
이처럼 쿠팡플레이 앱을 통한 단독 신청 및 와우 멤버십 요구 조건은 '무한도전'이라는 강력한 IP를 활용하여 자사 플랫폼의 이용자 수와 유료 구독자 수를 늘리려는 쿠팡의 명확한 의도를 드러냅니다. 인기 이벤트에 대한 독점적 접근권을 제공함으로써, 앱 다운로드와 서비스 이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한 것입니다. 가격 정보에 있어 초기 예상가와 최종 확정가 사이에 차이가 있었던 점은, 대규모 이벤트 준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변동 등을 고려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최종적으로 공지된 9만 9천원이 팬들이 실제로 지불한 금액이라는 사실입니다.
V. '무도 키즈'라면 탐낼 수밖에! 공식 굿즈 완전 정복
'무한도전' 20주년 마라톤의 감동을 간직하고픈 '무도 키즈'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공식 굿즈! 참가자들에게 제공된 레이스팩부터 별도 판매된 MD 상품까지, 그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참가자 전원에게 지급된 레이스팩은 그야말로 '무도 감성'이 가득했습니다. 구성품으로는 레이스에 필요한 배번호표, FCMM 브랜드의 티셔츠와 반바지, 양말, 헤어밴드, 그리고 실용적인 짐색과 귀여운 키링이 포함되었습니다. 여기에 마녀공장 스킨케어 키트, 대상웰라이프의 뉴케어 SPORTSIX 리바이탈 드링크와 익스트림 블랙마카 젤리스틱, 베로카 멀티비타민 등 다양한 스폰서 제품까지 더해져 풍성함을 자랑했습니다.
별도로 구매 가능한 공식 MD 상품들은 '무한도전'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2025년 5월 9일부터 쿠팡의 특별 기획전 페이지를 통해 단독으로 판매되었으며 , 최대 55% 할인 혜택까지 제공되어 더욱 매력적이었습니다. 공식 러닝 MD로는 티셔츠, 반바지, 짐색 등이 있었고 , 그 외에도 한정판 에코백, 뱃지 등 다양한 아이템들이 준비되어 팬들의 선택지를 넓혔습니다.
주요 공식 굿즈 (Key Official Goods)
구분 (Category)주요 품목 (Key Items)판매처/제공방식 (Vendor/Provision Method)레이스팩 (Race Pack) 티셔츠(FCMM), 반바지, 양말, 헤어밴드, 짐색, 키링, 스폰서 제품 (마녀공장, 대상웰라이프, 베로카 등) 참가자 제공 (Provided to participants) 온라인 판매 MD (Online MD) 티셔츠, 반바지, 짐색 (공식 러닝 MD) , 에코백, 뱃지 등 한정판 굿즈 쿠팡 단독 판매 (Coupang Exclusive Sale) 공식 MD 상품을 쿠팡에서 단독으로 판매한 것은 참가 신청 과정과 마찬가지로 쿠팡플레이 및 쿠팡 플랫폼으로의 사용자 유입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벤트 접근성부터 상품 구매까지, '무한도전' IP를 활용한 다각적인 마케팅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굿즈 디자인 역시 단순한 기념품을 넘어, '무도 감성'을 담아내려는 노력이 엿보입니다. '무한도전'의 오랜 팬들이라면 공감할 만한 요소나 상징들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팬들에게 단순한 상품 이상의 가치, 즉 프로그램과의 정서적 연결고리를 제공했을 것입니다. 현장에서 진행된 '베스트 드레서' 콘테스트에서 참가자들이 과거 '무한도전' 캐릭터로 분장한 모습은 이러한 팬들의 깊은 애정과 몰입을 잘 보여줍니다.
VI. 단순한 마라톤 그 이상: 현장 이벤트와 뜨거웠던 특별 공연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는 단순한 10km 달리기를 넘어, 그야말로 '무도 세계관'에 흠뻑 빠져들 수 있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축제였습니다. 마라톤 코스 곳곳과 행사장에는 팬들을 위한 다채로운 즐길 거리가 마련되었습니다.
'무한도전'의 대표 에피소드들을 오마주한 체험형 부스들은 팬들에게 과거의 추억을 생생하게 되살리는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또한, 테마 포토존과 즉석 포토 부스에서는 '무한도전'의 한 장면 속에 들어간 듯한 특별한 사진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미니 게임과 다양한 현장 프로그램들은 참가자들에게 끊임없는 재미와 웃음을 안겨주었습니다.
특히 "도전! 베스트 드레서" 이벤트는 팬들이 직접 '무한도전' 멤버들의 과거 콘셉트로 분장하고 참여하는 진풍경을 연출하며 마치 예능 특집 한 회를 보는 듯한 유쾌함을 선사했습니다. 여기에 '할마에' 염정인의 에어로빅 퍼포먼스, 박문기 심판, 시영준 성우 등 '무한도전'과 인연이 깊은 인물들의 깜짝 등장은 팬들에게 반가움과 감동을 동시에 안겨주었습니다.
행사의 대미를 장식한 것은 바로 '무도 콘서트'를 방불케 하는 피날레 특별 공연이었습니다. '무한도전'과 깊은 인연을 맺은 아티스트들이 총출동하여 현장의 열기를 최고조로 끌어올렸습니다.
피날레 특별 공연 라인업 (Finale Special Performance Lineup)
아티스트 (Artist/Group)코요태 (Koyote) DJ G.PARK (박명수) 지누션 (Jinusean) 레게 강 같은 평화 (스컬&하하) (Reggae Gang Like Peace - Skull & Haha) 스윗콧소로우 (정준하&스윗소로우) (Sweet Kkot Sorrow - Jung Jun-ha & Sweet Sorrow) 조남지대 (조세호&남창희) (JoNamJidae - Jo Se-ho & Nam Chang-hee) 전진 (Jun Jin) Sheets로 내보내기출처:
이처럼 마라톤 외에도 풍성한 현장 이벤트와 화려한 공연은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가 팬들에게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를 넘어, '무한도전'이라는 이름 아래 함께 웃고 즐기는 축제의 장이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무한상사', '무도 가요제' 등 프로그램 내에서 다양한 포맷과 세계관을 선보였던 '무한도전'의 특징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한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피날레 공연에 참여한 아티스트들 중 다수는 과거 '무한도전 가요제' 등을 통해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았거나 '무한도전'과 특별한 인연을 맺은 이들입니다. 이들의 참여는 '무한도전'이 과거 대중음악계에 미쳤던 긍정적인 영향력과 그 문화적 유산이 여전히 유효함을 증명하는 동시에, 2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순간을 함께 축하하는 의미를 더했습니다.
VII. 현장의 감동을 다시 한번! 온라인 VOD 시청 가이드
행사에 직접 참여하지 못했거나, 그날의 감동을 다시 느끼고 싶은 분들을 위해 온라인 시청 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는 쿠팡플레이를 통해 독점 생중계되었습니다.
생중계는 2025년 5월 25일 오전 7시 (혹은 7시 40분)부터 시작되어 마라톤 출발부터 피날레 특별 공연까지 전 일정을 현장감 있게 전달했습니다. 일반 시청자들은 광고 포함 무료로 시청 가능했으며, 쿠팡 와우 회원은 화질, 광고 없이, 다중 음성 해설 지원 등 더 나은 환경에서 즐길 수 있었습니다. 생중계 중에는 라이브 채팅 기능도 제공되어 팬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함께 축제를 즐기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중계진의 면면도 화려했습니다. '무한도전' 원년 멤버 출신인 이병진이 해설위원으로, 정용검 캐스터가 진행을 맡았으며, 박명수가 특별 게스트 해설로 참여해 '무한도전' 특유의 유쾌한 입담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마라톤에 직접 참여한 정준하는 '정준하 캠'을 통해 현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습니다.
생방송을 놓쳤더라도 아쉬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VOD 다시보기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라이브 방송 종료 약 6시간 후부터 쿠팡플레이에서 VOD 시청이 가능해 , '무한도전 마라톤 과정'을 생생하게 다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쿠팡플레이의 다층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무료/유료 옵션, VOD)은 더 많은 시청자를 유치하고, 특히 와우 멤버십 가입자에게는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단순히 행사를 중계하는 것을 넘어, '무한도전' 원년 멤버와 현 멤버가 참여하는 특별 해설진 구성, 참가자 시점의 라이브 캠 등은 온라인 시청자들에게도 마치 '무한도전'의 한 에피소드를 보는 듯한 풍부하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세심한 기획이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VIII. '무한도전' 20주년, 축제는 계속된다!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는 '무한도전' 20주년 기념 축제의 하이라이트였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방송사 MBC와 제작진, 그리고 팬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20주년 기념 프로젝트는 다양한 형태로 계속되고 있습니다.
MBC는 '무한도전' 최고의 에피소드를 선정하는 투표를 네이버를 통해 진행했으며 , 그 결과를 바탕으로 MBC에브리원과 MBC M 채널에서 레전드편을 재방송 편성하여 추억을 소환했습니다. 한동안 멈춰있던 '무한도전' 공식 홈페이지도 20주년을 맞아 새롭게 단장하고, '무도 퀴즈 이벤트'와 정주행 채널 '엠빅라이브'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오분순삭' 채널에서는 2025년 '무도 일력'을 공개하는 등 특별한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무한도전'을 탄생시킨 김태호 PD 역시 20주년을 맞아 "함께 했던 멤버들, 시청자들 그리고 MBC에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겠다"며 뭉클한 소회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서울 여의도에서 성공적으로 막을 내린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는 그 열기를 이어 다음 개최지로 부산을 확정했다는 기쁜 소식을 전했습니다. 이는 20주년의 축제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될 것임을 예고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무한도전' 20주년은 원 방송사인 MBC,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김태호 PD,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 파트너인 쿠팡플레이가 각자의 방식으로 참여하는 다각적인 축제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무한도전'이라는 IP가 가진 변함없는 가치와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팬들과 교감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반영합니다.
특히 서울에서의 성공적인 개최 직후 부산에서의 다음 행사를 발표한 것은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팬 참여형 프랜차이즈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는 '무한도전' IP를 활용한 장기적인 계획의 시작일 수 있으며, 팬들에게는 앞으로도 '무한도전'의 정신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가 계속될 것이라는 희망을 줍니다.
IX. 마치며 (Conclusion): 영원한 '무도 키즈'들의 축제를 돌아보며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 서울 행사는 '무한도전' 20주년을 기념하는 성공적인 축포였습니다. 참가자들은 단순히 10km를 달리는 것을 넘어, '무한도전' 특유의 도전 정신, 웃음, 그리고 동료애를 함께 나누며 '무도 정신'을 몸소 실천했습니다.
프로그램 종영 후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뜨거운 팬들의 사랑과 참여는 '무한도전'이라는 콘텐츠가 우리 사회와 문화에 얼마나 깊은 흔적을 남겼는지를 증명합니다. 핵심 멤버 일부의 부재라는 아쉬움 속에서도, 현장에 모인 팬들과 참여 멤버들은 '무한도전'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가 되어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었습니다. 이는 '무도 키즈'들의 변함없는 충성심이 얼마나 강력한 자산인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팬덤의 열정은 향후 어떤 형태로든 '무한도전' IP가 활성화될 때 가장 큰 동력이 될 것입니다.
이번 행사는 또한, 과거의 인기 TV 프로그램 IP가 팬들과 소통하는 방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단순히 과거 영상을 다시 보는 수동적인 소비를 넘어,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축제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팬들에게 더욱 깊은 유대감과 새로운 추억을 선사한 것입니다. 이러한 체험형 이벤트 모델은 다른 레전드 프로그램들이 기념일을 맞이하거나 팬들과 다시 만나고자 할 때 참고할 만한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의 감동을 뒤로하고, 이제는 부산에서 이어질 또 다른 '무한도전'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때입니다. '무한도전'을 향한 우리의 사랑이 계속되는 한, '무도 키즈'들의 축제는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쿠팡플레이 VOD를 통해 그날의 감동을 다시 한번 느껴보시거나, 여러분만의 '무한도전' 추억을 댓글로 공유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X. 무한도전, 어떤 도전들이 있었길래? 추억의 마라톤/달리기 관련 에피소드 및 도전 특집 되짚어보기
'무한도전' 20주년 기념 마라톤이 유독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무한도전'의 역사 자체가 수많은 '극한도전'의 연속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멤버들의 한계를 시험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에 끊임없이 도전했던 과거의 특집들은 '무한도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대표적인 장기 도전 프로젝트로는 다음 특집들을 꼽을 수 있습니다.
- 봅슬레이 특집 (2009년): 열악한 환경 속에서 멤버들이 봅슬레이에 도전하며 겪었던 부상과 역경, 그리고 뜨거운 눈물은 시청자들에게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 특집은 비인기 종목이었던 봅슬레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환기하는 데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 조정 특집 (2011년): 평균 연령 30대 후반의 멤버들이 조정이라는 생소한 스포츠에 도전하며 보여준 팀워크와 투혼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습니다. 훈련 과정의 어려움과 멤버들의 성장은 시청자들에게 진한 감동을 안겼습니다.
- 프로레슬링 WM7 특집 (2010년): 1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프로레슬링 기술을 연마하며 멤버들이 흘린 땀과 눈물, 그리고 부상 투혼은 '무한도전'이기에 가능했던 도전이었습니다. 실제 경기에서 보여준 멤버들의 진정성 있는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외에도 '무한도전'은 크고 작은 달리기 미션이나 신체적 한계를 시험하는 특집들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이라는 키워드를 상기시켰습니다. 이러한 과거의 도전들은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이 단순한 웃음을 넘어, 시청자들에게 용기와 희망, 그리고 함께하는 것의 가치를 전달했음을 보여줍니다. 20주년 기념 마라톤은 바로 이러한 '무한도전'의 핵심 정신을 계승하고, 팬들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전설적인 도전들을 기억하는 팬들에게 이번 마라톤은 '무한도전'의 변치 않는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감동적인 경험이었을 것입니다.
728x90반응형 - 봅슬레이 특집 (2009년): 열악한 환경 속에서 멤버들이 봅슬레이에 도전하며 겪었던 부상과 역경, 그리고 뜨거운 눈물은 시청자들에게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 특집은 비인기 종목이었던 봅슬레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환기하는 데도 크게 기여했습니다.